수사교육 소감
김용규
47

수사 교육 소감

 

2025 4 5, 6일 양일간 천선원에서 수사교육을 받았습니다. 바쁜 일이 이어져 소감문 작성이 늦어졌습니다.

 

좀 더 집중하는 수련을 이어가기 위해 참여하자는 생각으로 교육장에 갔는데 지도자로서 교육이라 감당하기에는 덜 준비되었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건곤단법과 원기단법에 대한 이론교육과 실기교육은 나에게는 좋은 행공 가이드가 될 것 같습니다.

특히 수도자, 안내자로서 마음자세에 대한 교육은 수련생활을 하는데 큰 지침이 될 것 같습니다.

 

시험은 필기와 실기 시험으로 시행되었는데 필기시험은 국선도 어의, , 도기, 선도주, 수련시 마음자세, 수도목적, 단전호흡 효과, 기혈순환유통법 유의점, 입문호흡 목적, 정기신 통일방법, 정기신 삼단전 이단호흡, 중기단법 행공원리, 건곤단법 행공원리, 원기단법 행공원리 및 행공에 임하는 자세 등에 대해 교육한 내용을 정리하는 시험이었습니다. 수도인으로 한번은 정리해야 하는 주제임을 깨닫게 하였습니다.

 

이순영 법사님의국선도와 역리(易理)’ 교육은 태극(太極)에서 만물(萬物)로 분화(分化)되는 과정에 대해 수리철학(生數, 成數)과 팔괘사상(八卦)의 원리로 설명하며 건곤단법과 원기단법 법리도(法理圖)를 해설해주셨는데, 우리의 국선도는 만물분화의 과정을 소급하여 본래의 태극으로 돌아가는 반본환원(返本還元), ‘마음의 장벽으로 분리되었던 근원인 대우주와 다시 만나고 대우주와 하나가 되어 완성된다의 도()임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선조들은 특히 유학자들은 유학은 태극에서 만물로 분화되는 순리(順理)하므로 인륜(人倫)을 중요시하고 도인들은 역리(逆理)로 태극으로의 환원 곧 성단(成丹)을 주장하므로 불사(不死)의 신선이 된다는 이론(逆修論)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합니다.

 

그리고 그 큰 주제가장 아름답고 가치 있는이란?, 이 순간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다루는 교육이었습니다. 인생 후반기에 서 있는 나에게 중요했지만 당당하게 맞서지 못했던 주제였습니다. 물론 수도자로서 주제였지만, 나에게는 근본적인 질문이었습니다.

이에사랑과 자비의 하늘 마음을 닮아라, 하늘의 뜻(정신)과 하나가 되어라라는 영적성장(靈的成長)을 통해자신도 돕고 남도 도와라 그리고 도인으로 살아라”. 또한대자연의 품에 안기듯 자신의 모든 것을 여의고 자연적인 기운의 흐름에 따라 대자연과 하나가 되는 삶을 살자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영적성장이 나에게는 과제였습니다. 본래 영성(靈性)이란더 큰 실재(實在)와 연결되어 큰 자아(自我)에 이르려는 성향이다. 영성은 학문에 따라 철학에서는 자기초월(自己超越) 능력으로, 종교학에서는 궁극적 실재와의 연관성으로 파악하려는 것이다. 영성은 인간의 의식적(意識的) 마음을 넘어 우주의식(宇宙意識)과 생명의 근원(根源)까지 연결되는 인간 능력이고, 자기초월의 단계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며 인간의 보편적 특성이다”.

영적성장은우주의 절대정신이 인간의 마음에 작용하여 지극한 차원(次元)으로 승화(昇華)되는 것을 의미한다. 영성의 체현(體現)은 인간이 문득 깨달아 다가설 수도 있지만(Epiphany, 浩然之氣), 의식적인 노력(修鍊)이나 생각(瞑想)에 의해 매개되기도 한다”. 라 고 정리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도인들은 대자연과의 교감(感通), 영성의 체현은자아를 중심으로 하는 선입견이 없는 것이고, 물욕과 감정에 의해 소동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며, 마음이 유혹을 받아 밖으로 질주하지 않는 것이다. 즉 공허할 수 있고 고요할 수 있으면 자연히 멈출 수 있다”. 즉 수행 방법은 주로 마음을 비우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입문교육 때부터 원장님 늘 해오셨던대자연의 품에 안긴다. 하늘의 밝은 기운을 마신다. 마음을 내려놓으라”, “하늘향기 명상말씀등의 가르침이 처음에는 낯설고 막연했지만 이제 영적 성장을 이끌어 주시는 귀한 응원이고 촉구(促求)였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도자로서 영적으로 성장을 희원하며 꾸준히 정성을 다해 수련을 이어 가겠습니다.     

지도자 교육, 안내자 교육이었는데 제 자신의 수련과제만 늘어놓아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list